진실은 저 넘어에...

진실의 적은 의도적이고 꾸며지거나 부정직한 종류의 거짓이 아니라, 고질적이고 설득력 있으며 비현실적인 통념인 경우가 많다.

블로그 이야기

수익형 블로그 만들기 선택 기준, 네이버 티스토리 구글블로거 워드프레스

캐슬-구그 2024. 6. 27. 22:37
 

수익형 블로그란 무엇이고 사이트 선택 기준은?
블로그 관리와 운영도 모르는 생초보가 주변 이야기만 듣고 시작하는 수익형 블로그 만들기 그 첫 단계. 블로그 별 장단점 비교와 티스토리 가입 후 초기 설정까지 계획도 없이 무작정 글 먼저 작성해 봅니다.


 

블로그 별 장단점 비교와 선택 기준은?


 

썸네일_수익형_블로그_만들기

 

"블로그"의 장점은 간편한 사용법으로 누구나 웹 사이트에 글을 작성하여 쉽게 올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


최근에는 RSS 기능이 추가되어 특정 "블로그"의 글이 실시간으로 작성될 때마다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확인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블로그란 무엇인가?

 

블로그_참고_그림

 

"블로그" 란?

"블로그"는 웹(web)과 로그(log)의 합성어로 개인의 생각과 경험, 알리고 싶은 견해나 주장, 나아가 전문지식 등을 웹에다 일기(로그)처럼 기록해 다른 사람들도 보고 읽고 댓글을 달수 있게끔 열어 놓은 글모음을 말합니다.


보통 시간의 순서대로 가장 최근의 글부터 먼저 보이며, 여러 사람이 같이 쓸 수 있는 게시판(BBS)과는 달리 한 사람 혹은 몇몇 소수의 사람이 글을 올릴 수 있습니다.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일기·칼럼·기사 등을 자유롭게 올릴 수 있을 뿐 아니라, 개인 출판·개인방송·커뮤니티까지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 일종의 1인 미디어입니다.


1997년 10월 23일 미국 프로그래머 존바거에 의해 처음 등장했으며, 대표적 사이트로 블로거닷컴(Blogger.com)이 있습니다. 1999년 설립된 블로거닷컴은 블로그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데 기여한 대표적인 사이트입니다.


“2002년에 세계적인 IT 기업 구글이 블로거닷컴을 인수하여 큰 이슈가 되었다네요.”

 

- "목차로 되돌아가기" -

 


 


블로그 사이트 별 특징과 선택 기준은?


먼저 간략하게 국내 기업에서 서비스하는 대표적인 "블로그"로는

1. 네이버에서 서비스하는 "네이버 블로그"
2. 다음카카오에서 서비스하는 "다음 블로그""티스토리 블로그"가 있습니다.


그외 해외기업의 오픈소스로 운영되는 "워드 프레스 블로그""구글블로거"가 있습니다.

 

" 워드 프레스는 초보자가 접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라고 하네요." 
"  ☞  워드 프레스 = 넘사벽!! " 

 

블로그_사이트_선택_기준표


"블로그"들의 장, 단점을 간략하게 정리해본다면,
"네이버 블로그"는 우리나라에서 독보적인 포털 검색 서비스인 "네이버"를 뒤로하고 있어 사용자가 많아 "블로그"를 활용한 홍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지만, 구글의 애드센스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없습니다.


"다음 블로그"
"다음" "카카오"가 합병을 통해 점점 활용도를 잃어가고 있으며, 그 자리를 "티스토리 블로그"에게 내주었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구글" 애드센스 광고 수익은 물론이며, 그 외 "다음" 에드핏, 그 외 텐핑 등의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네이버" 검색 서비스에 상위 노출이 "네이버 블로그"와 비교하여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워드 프레스 블로그"
는 우리나라에 국한되지 않는 글로벌한 "블로그"를 운영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르는 수익성 또한 높지만, 홈페이지를 개설하는 것과 같은 전문적인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운영이 필요합니다.


이 외로 소소하게 운영되는 "블로그" 서비스가 있다고 하는데 쉽게 접하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이렇게 각 "블로그"의 장단점을 간략하게나마 알아보았는데, 어떤 "블로그"를 선택할지는 개인의 몫입니다.


단순하게 수익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블로그"를 개설하는 것보다는 꾸준한 노력과 정성으로 "블로그"를 운영하게 된다면 홍보 효과나 소소한 수익은 절로 따라오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티스토리_블로그_로고


저는 일단 "구글" 애드센스를 반영할 수 있는 "티스토리"를 선택하였고, 앞으로 박학다식 하지는 못 하지만 잡학 다식한 정보를 공유하여 "블로그"를 성장시키는 꿈 꾸고 있습니다.


앞서 작성된 내용과 같이 "티스토리"의 가장 쉬운 수익 창출 방법은 광고를 본문에 연동하고, 클릭을 통해 수익을 발생시키는 구조인 애드센스 광고를 클릭 및 노출하고 그 시간에 따른 수익을 발생시키는 에드핏, 홍보를 통한 수익을 발생시키는 텐핑 그리고 마찬가지로 홍보와 구매 유도를 통한 수익을 발생시키는 쿠팡 파트너스 등이 있다고 합니다.

 

" 여기서 쿠팡 파트너스는 블로그의 저품질 문제로 인한 검색 노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니 잘 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


그리고 모든 "블로그"를 개설하고 처음부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광고를 연동시키지는 못하며, "블로거"로서 최소한의 노력과 시간을 드려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 광고를 연동시킬 수 있는 승인 절차는 차차 공부하여 이야기하겠습니다. "
" 수익을 얻는 그날까지 파이팅!! "

 


 


티스토리 블로그 가입에서 초기 설정까지

 

★ 티스토리 가입 전 주의사항 한 가지! ★

티스토리_블로그_주소_작성_회원가입_화면
< 티스토리 블로그 가입 화면 - 블로그 주소 생성하기 >


위 그림과 같이 "블로그"의 주소는 가입 이후에 변경이 불가능하며, 그 외 입력값은 가입 후 관리자 설정에서 변경이 가능하니 안심하시고 작성하시면 됩니다.

( "위 그림의 빨간색 네모칸만 주의" )


아이디를 "블로그" 주소로 사용할 수 있지만, "블로그"를 대표할 수 있는 명칭을 정하고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 이유는 "블로그" 주소는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표기되기 때문에 "블로그"의 주제에 맞게 정하시면, "블로그"의 성장에 따라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제2의 홍보의 효과를 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저는 블로그 주소 때문에 3일간을 고심하였네요. "


가입 후 스킨을 선택하는 페이지에서 많은 고민을 하게 되는데, 이후에 글을 작성하시면서 스킨을 변경해도 괜찮으니 고민하지 마시고 마음에 드는 아무 스킨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블로그"
에 글이 없는 상태에서는 스킨을 선택해도 별반 차이를 못 느끼실 수 있으며, 간단하게 배경의 구성 상태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테스토리_블로그_스킨_선택_화면
< 티스토리 블로그 기본 스킨 선택하기 >


이후 글을 작성하신 후에 스킨 변경에 대해서는 위 그림과 같이 대표적인 기본 스킨 외에도 여러 가지 스킨이 있으며, 그 외 전문가 분들의 커스텀 스킨도 있으니 스킨에 대해서는 차근히 "블로그"의 성격에 맞춰가며 알맞은 스킨을 반영하시면 됩니다.

 

" 스킨은 블로그를 대표하는 얼굴로 이후 스킨에 대해 공부하여 그 내용을 차차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


이렇게 "티스토리"를 가입하고 스킨 선택을 하셨으면, 블로거로써의 첫발을 딛으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글을 작성하시기 전에 간단하게 "블로그"의 관리자 설정을 수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블로그"
의 관리자 설정 페이지로 이동하시면, 좌측면 사이드바에 여러 메뉴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아래 그림과 같이 각 메뉴를 선택하여 설정을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티스토리_카테고리_설정_화면
< 티스토리 블로그 초기 설정하기 >


콘텐츠의 카테고리 메뉴는 사전에 정리해 놓으시면 글 쓰기 후 관리 및 정리하기가 편리하며, 플러그 인 메뉴는 각 기능에 대한 설명을 확인하시고, "블로그"에 맞춰 사용 여부를 설정하시면 됩니다.


플러그인에서 애드센스 에드핏 등의 광고 플러그 인이 있는데, 이 것은 승인 절차가 있으므로 아쉽게도 반영되지 않습니다.


관리의 "블로그" 메뉴는 "블로그"에 대한 설명, 이름, 로고 등 "블로그"의 주제를 설정합니다.


차후 "네이버" 검색 서비스 등록을 위해 빠짐없이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기타 설정 목록에서 공개될 RSS를 50개로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공개될 RSS는 차후 "블로그" 의 방문자 수를 결정하는 중요한 설정입니다.

그 외 여러 설정들이 있는데 내용을 확인하시고, "블로그"의 상태에 맞춰 설정을 변경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티스토리"를 시작하기 위하여 가입에서 간단한 설정까지 해보았습니다.


"티스토리"를 가입하고 본 글을 쓰는 동안에도 "블로그"에 대한 많은 생각과 여러 의심을 하고 있지만, 첫 발을 내디뎠으니 모든 것을 뒤로하고 "블로그"의 성장과 초보에서 전문가가 되어가는 이야기를 여러분들께 나누어 보겠습니다.